본문 바로가기
이슈

서울 시내버스 파업 / 대응 조치

by 판다롱a 2024. 3. 28.
반응형

3월 28일, 서울 시내버스 노조가 12년 만에 파업에 돌입하면서 많은 시민들이 출퇴근에 큰 불편을 겪었습니다. 이번 파업은 임금 인상과 근무 조건 개선을 요구하며 시작되었으며, 서울시는 비상수송대책을 시행하여 시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려 노력했습니다. 이 글에서는 파업의 배경, 서울시의 대응 방안, 그리고 시민들의 반응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
서울버스파업
서울 버스 파업

버스 파업

  • 파업 원인: 노조는 임금 인상과 호봉 제도의 개선을 요구하며, 이에 대한 사측과의 협상이 결렬되어 파업에 돌입했습니다. 
  • 노조의 요구: 노조 측은 12.7%의 임금 인상을 요구했습니다. 이는 인천이나 경기지역 대비 서울 버스 임금이 낮다는 점을 지적하며 제시된 수치입니다.
  • 사측의 입장: 사측은 최근 5년간의 물가상승률과 임금인상률을 고려할 때 2.5% 인상이 가능하다고 제시하며, 노조의 요구가 과도하다는 입장을 보였습니다.
  • 협상 결렬: 2024년 3월 27일 오후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서 최후 조정이 열렸으나, 노사 간 막판 줄다리기 협상에도 불구하고 결국 협상이 결렬되었습니다.

 

파업 대응 조치

반응형
  • 비상수송대책 시행: 서울시는 지하철 운행 횟수를 늘리고, 무료 셔틀버스를 운영하는 등의 비상수송대책을 시행하여 시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려 노력하고 있습니다. 
  • 지하철 증회 운행: 파업 기간 동안 지하철은 하루 총 202회를 증회 하여 운행됩니다.

 

시민들의 혼란

  • 사전 안내 부족: 대부분의 시민들은 파업 당일 아침에야 휴대전화로 도착한 안내 문자를 통해 파업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. 
  • 시민들의 혼란: 많은 시민들이 버스를 기다리다가 뒤늦게 파업 소식을 접하고, 대안 교통수단을 찾아야 했습니다.
  • 지하철 혼잡 증가: 버스 대신 지하철을 이용하는 시민들이 늘어나면서, 지하철역은 평소보다 혼잡했습니다. 
  • 택시 대란 발생: 버스를 이용할 수 없게 된 많은 시민들이 택시로 몰리면서, 서울 내에서 택시를 잡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했습니다.

 

이번 파업은 서울 시내버스 노조와 사측 간의 임금 인상률을 둘러싼 협상 결렬이 주된 원인입니다. 양측의 입장 차이가 큰 만큼, 파업의 종료 시점은 협상의 진전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보입니다. 시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이 마련되고 있으니, 관련 소식을 지속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
 

반응형